또다시 비극으로 끝난 ‘롯데 시네마’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2,789 조회
- 목록
본문

부산 사직야구장에 가을은 또 오지 않았다. 벌써 8년째다. 올해 롯데 자이언츠 팬은 마음이 더 무너진다. 분명 8월초까지만 해도 4위권과의 격차가 넉넉한 3위였고, 당시 확률적으로 포스트시즌 진출 가능성이 95%에 이르렀다. 봄을 넘어 전반기가 끝나고, 후반기가 시작됐을 무렵까지 계속된 희망은 두 달 만에 연기처럼 사라졌다. 8월에 겪은 12연패가 너무 컸다. 시즌 10승5패 평균자책점 3.65의 성적을 내던 터커 데이비슨을 방출하고 메이저리그 출신 빈스 벨라스케즈를 영입한 직후부터 무너졌다. 롯데가 10승 투수를 교체한 주된 이유는 이닝 소화력 때문(평균 투구이닝 5⅔이닝)이었다. 데이비슨은 22경기에 선발 등판했는데 7이닝 이상 던진 경기가 3차례에 불과했다. 특히 6월 이후 6회를 못 버티거나 조기 강판하는 일이 잦았다. 위기 관리 능력에도 의문부호가 달리면서 가을야구에서 1·2선발로 쓰기에는 부족하다는 판단이 섰던 것으로 보인다. 앞서 찰리 반즈 대신 5월에 영입한 알렉 감보아가 꽤 괜찮은 성적을 거두고 있었던 터라 외국인 투수 교체에 자신감도 있었다. '불펜 과부하' 롯데·SSG, 어디서 희비 엇갈렸나
하지만 벨라스케즈가 예상외로 너무 부진했다. 11경기 등판에서 1승4패 평균자책점 8.23의 성적을 냈다. 무엇보다 경기 초반 무너지는 경우가 잦았다. 데이비슨과 비교해 많은 이닝을 책임져줄 것이라는 기대치가 있었으나 벨라스케즈의 평균 투구이닝은 4이닝도 채 되지 않았다. 불펜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데려왔는데 오히려 더 과부하를 줬다. 수도권 구단의 한 고위 관계자는 "외국인 선수는 리그 적응 등의 문제가 있어 시즌 중에는 웬만하면 잘 안 바꾼다. 우리라면 10승 투수를 중간에 바꾸는 모험은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마디로 위험한 도박이었다.
사실 외국인 투수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박세웅(평균 투구이닝 5⅔이닝), 나균안(평균 투구이닝 5이닝) 등 국내 선발진 또한 평균 투구이닝이 6이닝을 넘지 못하면서 불펜들이 4이닝 이상을 책임지는 일이 많았다. 불펜 계투진 중 정현수는 82경기(47⅔이닝 투구)에 투입돼 KBO리그 투수 중 가장 많은 경기에 섰다. 지난 시즌 뒤 두산에서 트레이드되어온 정철원 또한 75경기(공동 5위·70이닝 투구)에 나섰다. 김강현(67경기 72이닝 투구)이나 시즌 중 합류한 최준용(49경기 54⅓이닝 투구) 또한 등판이 잦은 편이었다. 마무리 김원중(53경기 60⅔이닝 투구)도 8회에 투입돼 멀티 이닝을 소화할 때가 꽤 있었다.
전반기에는 그나마 '있는' 자원으로 불펜이 잘 돌아갔다. 선발진은 불안했으나 뜨거웠던 방망이와 힘이 남아있던 불펜으로 그나마 버텨냈다. 하지만 선발이 안정화되지 않으면서 불펜은 서서히 힘을 잃어갔다. 이와 더불어 마이너리그에서조차 한 시즌 80이닝 이상을 던져본 적이 없는 감보아가 순위 싸움이 제일 치열했던 9월에 체력적인 문제와 팔꿈치 부상이 겹치며 무너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