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까운 중국', 월드컵 중국몽 무산... FIFA, 대회 질 우선… 중국 진출 희망론 일축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94 조회
- 목록
본문

영국 ‘가디언’은 24일(한국시간) “FIFA는 2030년 월드컵 100주년을 맞아 참가국을 64개국으로 확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아니 인판티노 회장이 뉴욕에서 남미축구연맹 대표단과 논의를 가졌지만 기존 방침은 변함이 없었다”고 보도했다.
2030년 대회는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다. 사상 처음으로 3개 대륙 6개국 공동 개최가 확정됐다. 초대 개최국 우루과이를 비롯해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에서 일부 조별리그 경기가 치러지고, 주요 토너먼트 무대는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에서 펼쳐진다.
남미축구연맹은 개최 효과 극대화를 위해 참가국을 64개국까지 늘리자고 주장했다. 2026년 북중미 월드컵부터 참가국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확대된 데 이어 다시 한 번 대폭 확대를 시도한 것이다. 만약 64개국 체제가 도입된다면 가장 큰 수혜국은 중국이 될 수밖에 없다.
중국은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 본선 진출에 실패해왔다. 48개국 체제로 바뀌면서 아시아 진출국 수가 늘어났지만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그러나 64개국으로 확대되면 아시아 쿼터가 더 늘어나 중국의 본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 여기에 중국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까지 이어질 수 있어 FIFA와 개최국 모두 재정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FIFA 내부의 반발은 거세다. 가디언은 “FIFA의 공식 입장은 이해관계자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는 것이지만, 실제 내부 기류는 회의적이다. 인판티노 회장이 원한다고 해도 이사회 표결을 통과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한 FIFA 고위 관계자도 “64개국 체제는 대회 질을 떨어뜨리고 사업 모델에도 위험하다”고 직격했다. 알렉산데르 체페린 UEFA 회장 역시 “예선 경쟁을 약화시키고 대회의 질을 훼손하는 나쁜 아이디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결국 64개국 확대 논의는 남미의 이해관계에서 비롯된 중국의 월드컵 진출 희망론에 불과할 가능성이 크다. FIFA 내부 반대 여론이 뚜렷한 만큼, 2030년 월드컵은 당초 계획대로 48개국 체제로 치러질 전망이다. / 10bird@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