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디or보기] 아낌없이 내주고도 부족한 ‘최경주의 삶’이 주는 교훈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버디or보기] 아낌없이 내주고도 부족한 ‘최경주의 삶’이 주는 교훈

자신을 희생하고 타인을 위해 아낌없이 내주기만 하는 사람들을 종종 본다. 흔히들 그런 사람을 이타주의자(利他主義者)로 부른다. ‘탱크’ 최경주(55·SK텔레콤)도 그런 삶을 살아가는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한국인 최초로 미국프로골프(PGA)투어에 진출, 통산 8승을 거뒀다. 그리고 현재는 만 50세 이상 레전드들의 경연장인 챔피언스투어서 활약하며 2차례나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2000년에 PGA투어 데뷔 후 총 499개 대회에 출전해 3280만3596달러(약 459억 8736만원)의 상금을 벌었다. 2021년에 데뷔한 챔피언스투어서도 현재까지 105개 대회에서 565만2345달러(약 79억 2515만원)의 상금을 획득했다. 금전적 수입만 놓고 본다면 누가 봐도 성공한 삶이다. 전남 완도 출신인 그가 지긋지긋한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골프채를 처음 잡았다는 걸 감안하면 그 목적은 이루고도 남은 셈이다. 하지만 그는 거기에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 그래서 쉴 수가 없다. 배가 고파서가 아니다. 처음엔 생계형이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받은 사랑이 너무나도 커 그것을 되돌려 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시작은 미약했으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는 성경 구절을 몸소 실천하려는 것이다. 2007년에 자신의 이름을 걸고 설립한 ‘최경주재단’을 통해 골프 꿈나무와 일반 장학생 꿈나무들을 지원하는 것, 2011년부터 올해로 14회째 열리고 있는 KPGA투어 유일의 인비테이셔널 대회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을 통해 후배들의 꿈을 키워주는 것 등이 그 일환이다. 세상에 거저 얻어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 최경주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그의 성공은 금욕주의에 가까운 극한의 자기 절제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그런 생활 패턴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외려 지금이 더 철저하다. 최경주는 25일 개막한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에 호스트 겸 선수로 참여해 분주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PGA챔피언스투어를 마친 뒤 곧장 귀국한 터라 시차 적응도 안된 상태지만 후배들을 위한 걸음이어서인지 피곤함도 잊은 채 연신 싱글벙글한다. 많은 것을 내주고도 오히려 더 못 줘서 안달이다. 한아름 안긴 선물도 선물이지만 후배들을 위한 조언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귀한 간증과도 같아 큰 울림을 준다. 최경주는 자신이 열심히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성적’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 또한 자신을 위한 게 아니다. 골프를 통해 물질이 생기면 생길수록 타인에게 더 베풀고 싶은데 그러기 위해선 좋은 성적이 필수적이라는 논리다. 후배들, 그중에서도 재단을 통해 끊임없이 배출되는 꿈나무들을 위해서라도 현역 활동을 오래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꿈나무들에게도 한때 반짝하는 선수보다는 오래 하는 선수가 되어야 한다고 늘 강조한다. 물론 그런 마음가짐은 자신에게도 도움이 된다. 아직도 왕성한 투어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게 그 방증이다. 그래서 그는 당초 환갑으로 잡았던 은퇴 시기를 늦췄다. 언제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선수 생활은 오래 하겠다는 생각이다. …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924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OUR NEWSLETTER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VISITORS
Today 1,987
Yesterday 4,436
Max 7,789
Total 471,821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