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 경기 골 넣는 손흥민, 리그 수준이 어떻게 돼?…유럽축구와 다른 MLS의 모든 것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73 조회
- 목록
본문

‘축구 불모지’로 불리던 미국 축구가 관심을 받는다. 리오넬 메시(38·인터 마이애미)가 2년 전 메이저리그사커(MLS)에 뛰어든 데 이어 아시아 최고의 스타 손흥민(33·LAFC)까지 마지막 둥지로 선택한 효과다.메시가 지난 2년간 MLS에서 차원이 다른 축구의 맛을 보여줬다면, 손흥민은 MLS 역대 최고 이적료(2650만 달러·약 373억원)에 걸맞는 골 폭죽을 터뜨리고 있다. 불과 8경기 만에 두 자릿수 공격 포인트(8골 3도움)를 올린 그의 활약에 아시아와 한국에서도 MLS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있다.MLS가 유럽리그에 익숙한 기존 축구 팬들에게는 많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궁금증과 함께 관심도를 끌어올린다.MLS는 30개팀이 동·서부를 나뉘어 정규리그(34경기)를 소화한 뒤 플레이오프(MLS컵)에서 진정한 승자를 가리는 구조다. 미식축구, 야구, 농구, 아이스하키 등 북미 4대 스포츠에 더 가깝다. MLS에서는 MLS컵 우승자가 공식 챔피언이다.정규리그 사이에 병행하는 3개의 컵대회도 익숙한 그림은 아니다. 한국으로 따진다면 코리아컵에 해당하는 US오픈컵(3월~10월), 북중미 챔피언스리그 격인 CONCACAF챔피언스컵(2~6월), 미국과 멕시코 클럽들이 맞붙는 리그스컵(7~8월)까지 시즌 사이에도 챔피언이 나온다. 10월 정규리그가 끝나고 11월 MLS컵의 주인공이 가려질 때까지 쉼 없이 우승을 즐길 수 있는 셈이다.선수를 뽑는 방식도 남다르다. MLS 모든 팀에 의무화된 것은 아니지만 드래프트가 여전히 존재한다. 폐쇄적인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표방하는 MLS 사무국은 선수와 계약을 맺은 뒤 구단으로 파견하는 방식도 고수하고 있다. 유럽식 승강제는 없다.MLS는 축구에서 보기 드문 샐러리캡(연봉 총액 상한제·595만 달러)도 있다. ‘베컴 룰’로 잘 알려진 지정 선수 규정을 신설하면서 구단별로 최대 3명까지 슈퍼 스타들이 뛸 수 있는 환경이다. 손흥민은 LAFC에서 1300만 달러(약 183억원)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 명의 지정 선수인 데니스 부앙가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의 연봉을 합친 금액의 두 배를 넘는다.출범 초기인 1996년 무승부를 대신해 도입했던 슛아웃(골대에서 32m 떨어진 거리에서 공을 드리블해 5초안에 슛을 쏴서 승패를 가리는 제도)을 1999년 폐지하는 등 그나마 축구의 룰 자체는 국제축구연맹(FIFA) 기준대로 동일하게 가져가고 있다.한준희 쿠팡플레이 해설위원은 MLS가 타 축구리그와 다른 원인을 ‘로컬화’에서 찾는다.한 해설위원은 “미국은 종목에 상관없이 익숙해진 4대 스포츠의 방식이 따로 있다. 정규리그보다 플레이오프가 중요한 시스템을 깨뜨리는 스포츠는 미국에서 성공하기 어럽다. 생존하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본다”면서 “MLS에서 독특한 플레이오프나 드래프트는 사실 K리그에서도 10여년 전 있었던 제도”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동부와 서부로 나뉘어 정규리그를 치르는 것도 큰 땅덩이의 문제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