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로 불만 표출' 포옛 감독, 올해의 감독상 못 받을 가능성 있다...징계 시 후보 제외 규정 탓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526 조회
- 목록
본문

포옛 감독은 지난 3일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펼쳐진 제주SK와의 하나은행 K리그1 2025 32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둔 뒤 불만을 표출했다. 자신의 SNS를 통해 심판 판정과 관련해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제주SK전 종료 후 자신의 SNS를 통해 논란이 된 장면과 함께 "Not penalty, Not VAR, Not words"라는 짧은 문구를 게시했다. 페널티킥도 아니고, VAR도 확인하지 않았고, 말도 못 한다라며 판정에 유감을 표한 것.
해당 장면은 후반 39분에 나왔다. 전북이 1-0으로 앞서고 있던 상황 추가골 기회를 얻었다. 전북 공격수 전진우가 제주SK 페널티 박스 안에서 상대 선수인 장민규에게 발을 밟혔다. 공격권이 전진우에게 있었던 상황에 장민규는 공을 건들지 못했으나 주심은 휘슬을 불지 않았다.
이동준 주심은 단호했다. 자신이 내린 결정을 번복하는 일은 없었다. 페널티킥 여부가 걸린 만큼 비디오 판독(VAR) 시스템이 가동될 법했으나 이마저도 체크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강하게 항의한 포옛 감독만 옐로카드를 받게 됐다.
억울한 상황은 이뿐만이 아니었다. 후반 추가시간 제주SK의 남태희가 동점골을 만들어 1-1의 상황을 만들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도 석연찮은 일이 발생했다.
전북의 이영재가 공격을 전개하던 과정에 제주SK의 정운과 몸싸움을 벌이다 공을 빼앗겼다. 이 과정에서 정운이 이영재의 유니폼을 잡고 늘어뜨렸음에도 이동준 주심은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소유권을 얻은 제주SK가 빠르게 공세를 취했고, 이 과정에서 남태희의 득점이 나왔다. 이후 이동준 주심은 득점 과정에서 반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VAR을 체크했지만, 이영재와 정운의 장면은 확인하지 않았다. 오히려 제주 공격수 유리 조나탄과 박진섭의 몸싸움만 체크했고, 이상이 없다며 득점을 인정했다.
징계 가능성이 제기됐다. K리그 상벌 규정에 따르면 경기 직후 인터뷰 또는 SNS 등 매체를 통해 판정에 대해 부정적 언급을 하게 되면 5경기 이상 10경기 이하의 출장 정지 처분받을 수 있다. 혹은 500만 원 이상 1천만 원 이하의 제재금을 부과할 수 있다.
만약 포옛 감독이 징계를 받는다면 시즌 종료 직후 진행되는 K리그1 감독상 후보에서 제외될 수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정관 및 규정 제6장 상벌 '포상의 대상 및 기준'의 개인상 시상 기준에 따르면 "구단은 당 시즌 연맹 상벌위원회 징계를 받은 자 중 5경기 이상의 출장정지 혹은 600만원 이상의 벌과금 조치를 받은 자는 후보로 제출할 수 없다"라고 명시돼 있다.
실제로 2019년 김도훈 감독은 울산현대(현 울산HD)를 이끌고 우승 경쟁을 펼치고 있었으나, 감독상 후보에서 제외됐다. 시즌 도중 주심에게 거세게 항의하다 프로축구연맹으로부터 3경기 출전 정지(퇴장 포함 5경기)와 1천만 원의 제재금을 받았기 때문이다.
만약 포옛 감독이 징계를 받게 된다면 K리그1 우승을 하고도 감독상 후보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