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혼혈 국가대표' 카스트로프 느낀 위계질서, "어린 선수들 나중에 타고, 식사 마치고 먼저 안 일어나"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韓 혼혈 국가대표' 카스트로프 느낀 위계질서, "어린 선수들 나중에 타고, 식사 마치고 먼저 안 일어나"

독일 매체 '키커'는 6일 "한국은 예의범절을 중요시한다. 연장자에 대한 존중이 크다. 명확한 위계질서가 있다"고 조명했다. 이어 "어린 선수들은 엘리베이터를 가장 나중에 탄다. 또 식사 후에는 과일을 가져다주고 모두가 식사를 마칠 때까지 아무도 먼저 일어나지 않는다. 물론 모두가 많이 도와주고 항상 친절하다. 대표팀 소집 후 항상 최고로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카스트로프의 언급을 덧붙였다. 카스트로프는 2003년생으로 독일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선수다. 독일에서 성장해 프로 선수로 데뷔했고, 지난 시즌까지 분데스리가2 FC 뉘른베르크에서 활약했다. 이번 여름 이적시장을 통해 분데스리가 묀헨글라트바흐로 이적하면서 1부 리그에 발을 들였다. 카스트로프는 꾸준하게 어머니의 나라 한국에 관심이 있었고 지난달 11일 소속 협회를 독일축구협회(DFB)에서 대한축구협회(KFA)로 변경해 한국 대표팀에 발탁될 수 있는 조건을 갖췄고 홍명보 감독의 부름을 받았다. 카스트로프는 중앙 미드필더와 오른쪽 풀백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자원이다. 특히, 힘이 넘치는 파이터 유형으로 한국 대표팀에 활력소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카스트로프는 지난 9월 7일 미국과의 경기에서도 존재감을 과시했다. 특유의 저돌성을 보여줬다. 미국의 공격 전개를 거칠게 막아냈고 경합에서 밀리는 않는 모습으로 시선을 끌었다. 이후 공격 상황에서는 빠르게 역습에 관여하면서 자신의 팀 페널티 박스에서 상대 팀 페널티 박스까지 넓은 활동 반경을 커버하며, 공격과 수비 양면에 모두 관여하는 역할인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 존재감을 선보였다. 카스트로프는 공 터치 26회, 패스 성공률 89%, 클리어링 1, 인터셉트 2회 등의 기록을 남겼다. 카스트로프는 지난 9월 10일 멕시코와의 경기에서는 박용우와 짝을 이뤄 홍명보호의 중원을 책임졌다. 저돌적인 움직임과 경합을 선보이는 등 존재감을 과시했다. 특히, 날카로운 패스로 공격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전반 9분 배준호의 날카로운 슈팅 장면에 시발점 역할을 수행했다. 카스트로프는 전반전 리커버리 5, 태클 6, 차단 3, 공격 지역 패스 8개를 기록했다. A매치 선발 데뷔전을 치른 카스트로프에게 주어진 시간은 45분이었다. 후반 시작과 동시에 김진규와 교체됐다. 카스트로프의 한국 대표팀 발탁은 이슈다. 이천수는 "예선을 함께하지 않고 마지막쯤 합류 후 평가전을 치르고 월드컵 본선에 가는 선수들이 있다. 반면, 예선을 열심히 뛰었는데 본선에 가지 못하는 겅우도 있다. 이근호도 예전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카스트로프가 오면서 미드필더들은 엄청 짜증 날 수도 있다. 월드컵 본선에 욕 한번 안 먹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본선을 가기 위해 엄청 욕을 먹은 선수들도 있다. '내 자리인데'라고 생각하면서 무조건 신경이 쓰일 것이다. 원래 그렇다"고 덧붙였다. 카스트로프의 군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기도 했다. 독일 매체 '빌트'는 "카스트로프는 갑자기 병역 문제에 직면했다. …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1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OUR NEWSLETTER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VISITORS
Today 3,382
Yesterday 4,932
Max 7,789
Total 527,443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