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형 3년차에 비로소 FA 선물?…박찬호? 강백호? ‘큰 손’ 롯데가 100억 시장에 참전하나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4,010 조회
- 목록
본문

김태형 롯데 자이언츠 감독은 부임 2년차까지 특별한 ‘취임 선물’을 받아보지 못했다. 프리에이전트(FA) 시장에서 외부 영입은 전무했다.
취임 첫 해인 2023년 스프링캠프 직전, 사인 앤 트레이드로 내야수 김민성과 2+1년 총액 9억원에 계약한 게 전부. 전준우(4년 최대 47억원), 김원중(4년 최대 54억원), 구승민(2+2년 총액 21억원) 등 내부 FA 잔류에 주력했다. 대신 안치홍이 2023년 시즌이 끝나고 한화와 4+2년 최대 72억원에 계약하며 롯데를 떠났다. 김태형 감독이 부임하자마자 떠났다. 결과적으로 김태형 감독 취임 이후 롯데는 한 번도 고액 FA 영입을 안했다. 아니, 못했다. 샐러리캡(경쟁균형세) 가득 차 있었고, 상한선에서 넘치기 직전에 찰랑찰랑 거렸다. 팀에 필요한 선수들이 있었음에도 롯데는 움직일 수가 없었다. 지난해 경쟁균형세 상한액 114억 2638만원에 불과 2억7620만원 모자란 111억 5018만원이었다.
롯데는 2022시즌이 끝나고 유강남(4년 총액 80억원), 노진혁(4년 총액 50억원), 한현희(3+1년 최대 40억원)의 FA 계약을 체결하면서 샐러리캡이 꽉 찼다. 그렇다고 이들이 제대로 활약한 것도 아니다. 2025년에는 20% 증액한 137억 1165만원으로 상향 조정 됐다. 하지만 이미 유강남 노진혁 한현희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이 크고 전준우 김원중 구승민 등 내부 FA 선수들들과 비FA 다년계약을 한 박세웅에게 책정된 연봉의 자리도 무시할 수 없다. 여기에 2024년 대활약을 펼친 ‘윤고나황손’, 윤동희 고승민 나승엽 황성빈 손호영의 연봉 상승 폭도 대단했다.
계속 샐러리캡에 대한 부담을 안고 가야 한다. 그래도 2026년에는 샐러리캡 금액이 143억 9723만원으로 다시 한 번 증액됐다. 아울러 7시즌 이상 소속선수로 등록한 이력이 있는 선수 1명을 경쟁균형세 총액 산정에서 제외하는 예외 선수 제도까지 생겼다. 롯데의 숨통이 트였다. 이제 롯데는 다시 한 번 투자 여력이 생겼다. 한 번 지갑을 열면 과감하게 여는(성패 여부와 관계없이) 롯데로서는 올해 다시 한 번 FA 시장을 주시하고 있다.
KIA의 주전 유격수로 지난해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안정적이면서 화려한 수비를 과시하는 내야수 박찬호, 그리고 천재 타자로서 상대에 위압감을 주는 거포 강백호가 올해 FA 시장에 최대어다. 롯데가 이들에게 관심을 표명할 수 있는 충분한 이유와 상황이 있다. 롯데는 언제나 유격수 포지션이 미흡했고 약했다. 올해 전민재 이호준 등이 유격수 자리에서 분투했다. 지난해 두산과의 트레이드로 합류한 전민재는 헤드샷 악재와 내복사근 부상 등으로 고전한 시기도 있었지만 101경기 타율 2할8푼7리(331타수 95안타) 5홈런 34타점 39득점 OPS .715의 성적을 기록했다. ‘트레이드 복덩이’로 불렸던 시간들이 있었다.
하지만 한계도 동시에 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