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경기인가 고문인가?" 구토하고 쓰러지는 선수들, ATP '극한 열 규정' 도입 요구 확산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뉴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4,250 조회
- 목록
본문

2025년 상하이마스터스가 경기 내용보다도 더 뜨거운 논란의 중심에 섰다. 고온다습한 살인적인 날씨에 선수들은 경기 도중 기권을 선언하고 코트 위에서 경련, 구토와 탈진으로 고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지 못한 ATP의 제도적 공백이 도마에 올랐다.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 중인 ATP(세계남자프로테니스협회) 상하이마스터스 기간 동안 대회장은 연일 섭씨 33~35도를 기록, 습도는 80%까지 올랐다. 체감온도는 40도에 육박했다. 코트 표면에서 올라오는 복사열과 통풍 부족으로 인해 선수들은 마치 '찜질방'에서 경기를 소화하는 듯한 환경에 놓였다.
악전고투 끝에 8강에 진출한 노박 조코비치(세르비아)는 16강 경기 중 코트 위에서 구토 증세를 보였고, 야닉 시너(이탈리아)는 극심한 근육 경련과 탈진으로 경기를 포기하고 코트를 떠났다. "몸이 내 뜻대로 움직이지 않았다"는 시너의 말은 상황의 심각성을 고스란히 전한다.
문제의 핵심은 ATP 투어에는 '극한 열 규정(Extreme Heat Policy)'이 없다는 점이다. 여자 투어(WTA)나 호주오픈 같은 그랜드슬램에서는 이미 일정 기준 이상의 기온·습도에 도달하면 '쿨링 브레이크'나 경기 중단이 가능하다. 하지만 ATP는 여전히 체어엄파이어(주심)의 재량에 의존하는 방식이며, 선수 보호보다는 경기 진행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일각에서는 "ATP는 지금 이 문제에 있어선 WTA(세계여자프로테니스협회)보다 5년 뒤처져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ATP는 지난 5년 간 극한 기후에 대한 명확한 정책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