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유성, 마지막 길…영정 든 이홍렬 “형님, 보고 싶을거예요”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연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958 조회
- 목록
본문

28일 오전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전유성의 영결식과 발인이 엄수됐다.
이 자리에는 김학래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 회장, 최양락, 팽현숙, 임하룡, 이경규, 김신영, 이영자, 이수근, 김민경 등 수많은 개그계 동료와 후배가 모여 고인을 배웅했다.
조사를 맡은 이홍렬은 “오늘 우리는 코미디계의 큰별 고 전유성 선배님을 보내드린다”며 “선배님은 코미디를 방송, 영화, 거리 공연까지 경계를 허무시며 지형을 새롭게 그리셨다. 개그맨이라는 말을 대중에게 뿌리내리게 하셨고, 모든 대중이 웃음의 주인이 되게 하셨다”고 떨리는 목소리로 고인을 기렸다.
이어 “선배님이 남긴 발자취는 우리 업의 교과서다. 선배님의 코미디는 기록으로 남아 읽히고 기억되어야 할 문화였다”며 “오늘 우리는 한 사람을 떠나보내지만 그분이 만든 길 위에 서 있다. 유성이 형님, 보고 싶을 거예요”라고 울먹였다.
앞서 이홍렬은 고인의 별세 직후 “그동안 너무 아프셨고 괴로운 모습을 많이 봐왔다. 이제는 편안하시길 바란다”며 애통한 심정을 밝힌 바 있다. 그는 전유성에 대해 “개그의 교과서, 그저 웃음만을 위해 일생을 살아온 분”이라며 “너무 사랑하는 선배님”이라고 회상했다.
이홍렬은 운구 과정에서 영정 사진을 들었다. 영정은 전통적으로 손자나 가족이 드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에는 고인과 오랜 인연을 이어온 이홍렬이 대신했다.
전유성은 지난 25일 오후 9시 5분, 폐기흉 증세 악화로 전북대학교병원에서 별세했다. 향년 76세.
고인의 발인 후 운구 행렬은 여의도 KBS ‘개그콘서트’ 녹화장을 들러 후배들의 박수속에 노제를 마쳤고, 이후 생전 고인이 마지막으로 터를 잡았던 전북 남원 인월면에 안장한다.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난 전유성은 1969년 TBC 방송작가로 연예계에 입문해 ‘유머 1번지’, ‘쇼 비디오자키’, ‘청춘행진곡’ 등 수많은 프로그램에서 활약했다.
무엇보다 ‘개그콘서트’를 기획·정착시키며 한국 공개 코미디의 새 장을 열었고, 수많은 후배 개그맨들을 길러낸 ‘아이디어 뱅크이자 멘토’로 기억되고 있다.
kenny@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