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차를 탄 여자' 정려원의 내려놓기 [인터뷰]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연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76 조회
- 목록
본문
29일 개봉된 영화 ‘하얀 차를 탄 여자’(감독 고혜진)는 피투성이 언니를 싣고 병원에 온 도경(정려원)이 경찰 현주(이정은)에게 혼란스러운 진술을 하면서 모두가 다르게 기억하는 범인과 그날의 진실에 다가가는 서스펜스 스릴러로, 정려원은 극 중 사건의 주요 목격자이지만 혼란스러운 기억을 지니고 있는 도경을 연기했다. 정려원과 ‘하얀 차를 탄 여자’의 인연은 지난 20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당시 조연출이었던 고혜진 감독은 정려원에게 첫 만남부터 내적 친밀감을 불러일으키는 사람이었다. 말이 많지는 않은데 플레이 리스트에 담긴 팝송은 정려원과 꽤 비슷한 취향이었다. 미국 유학의 경험도 정려원에게는 유대감을 자극하는 부분이었다. 특별하게 뭘 하지는 않지만 배우가 좋은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게, 그렇다고 너무 부산스럽지 않은 고혜진 감독의 태도는 정려원의 마음에 쏙 들었다. 고혜진 감독에게 입봉 할 때 무조건 도와주겠다고 약속할 만큼 그와의 작업은 정려원에게 특별한 기억으로 남았다. 무조건 하겠다고 했지만, 단서 조항을 달았다. 대본이 좋아야 한다고 단단히 일러뒀다. ‘하얀 차를 탄 여자’에 대한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 때부터 정려원은 고혜진 감독을 전폭적으로 지지했고, 완성된 대본이 왔을 때 ‘내 거’라는 확신이 들었다고 했다. 당초 2부작 단막극으로 제작된 ‘하얀 차를 탄 여자’는 총 14회 차 촬영을 진행했다. 적은 회차이지만, 정려원은 모든 걸 다 쏟아부으며 마음껏 달려보자는 마음으로 ‘하얀 차를 탄 여자’에 뛰어들었다. ‘하얀 차를 탄 여자’는 한 사건을 두고 세 번의 진술을 보여주며, 각자 다른 기억으로 인한 혼란을 통해 미스터리를 쌓아간다. 이에 정려원은 세 번의 진술 속 달라지는 도경의 태도를 연기할 때 그 무엇에도 중점을 두지 않았다. 정려원은 “절대 선도 절대 악도 없다. 피해자가 가해자가 될 수 있다고 정당화하지 말자고 했다. 피해를 입은 사람이 어떤 상황에 놓였을 때 무슨 선택을 하는지 인간의 시선으로 보여주고 싶었다”면서 “어느 쪽을 부각하지 않고, 최대한 치우치지 않게 하는 게 쟁점이었다”라고 말했다. 고혜진 감독이 구성한 스토리 보드를 나침반 삼아 도경을 만들어갔다. 모두가 조현병 환자로 알고 있지만, 그게 진실인지 아닌지 모호한 순간과 마지막 진실이 담긴 진술 등 세 번의 구간에서 각기 다른 도경의 톤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특히 첫 촬영으로 정려원은 큰 뼈대를 잡을 수 있었다. 이번 작품에서 가장 극한의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장면이 첫 촬영이었다고. 이에 대해 정려원은 “감정이 제일 많이 나와야 하는 신이 첫 촬영이길래 고혜진 감독에게 ‘진심이냐’라고 했다. 그랬더니 해명도 안 하고 ‘괜찮으시겠냐’라고 하더라. 괜찮아야지 어떻게 하겠나. 정말 보통이 아니다. 배우의 편의를 봐주지 않고 기강을 잡는다고 생각했다”라고 했다. 이어 정려원은 “그게 은근히 마음에 들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