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CJ 오디션은, 6디션이다"…보플2, '5+1'년 계약서 입수

작성자 정보

  • 하프라인연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단독] "CJ 오디션은, 6디션이다"…보플2, '5+1'년 계약서 입수

5년은 의무 계약 기간이다. 1년은 스페셜 활동 기간. '보이즈2플래닛' 탑승자들은 5+1년을 CJ ENM 소속으로 일해야 한다. '마의 7년'에서 1년 부족한 6년이다. '워너원'의 계약 기간은 1.5년이었다. ‘제로베이스원’의 활동 기간은 2.5년. 하지만 '보플2'의 경우, 6년을 채워야 한다. '워너원'(2017) 대비, 4배 이상 늘어났다. CJ ENM은 대외적으로 "재능 있는 아티스트에게 기회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선전했다. 이어 "중소 기획사와 협업해 음악 산업을 확장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CJ의 행보는 모순적이다. 오히려 음악 산업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지적. 재능 있는 아티스트를 자사 소속으로 묶어 산업을 독식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디스패치'가 '보플2' 출연 계약서를 단독으로 입수했다. ◆ "CJ의 오디션은 육디션이다"
"아티스트 그룹의 활동 기간은 데뷔앨범 발매일로부터 5년이 되는 때까지로 하며, 최종 선발자는 해당 기간 동안 아티스트 그룹의 멤버로서만 연예활동을 수행한다." (1조 2항)
출연계약서에 따르면, '보플2'의 활동 기간은 앨범 발매일로부터 5년. CJ ENM이 위탁한 신규 소속사, 즉 웨이크원(CJ 자회사) 소속으로 활동한다. 게다가 (5년이) 끝나도 끝난 게 아니다. CJ는 1조 3항에 '스페셜 활동' 조항을 넣었다. 6년째 되는 해에 싱글 앨범을 1장 더 내고, 추가 공연까지 해야 한다. "아티스트 그룹의 활동기간 종료 이후 1년 이내에 싱글앨범 1타이틀 발매, 공연 1타이틀 개최에 참여한다. '스페셜 할동'을 위한 모든 일정에 반드시 출연하기로 한다." (1조 3항)
CJ ENM은 '5+1'계약을 통해, 사실상 6년을 묶었다. 심지어 최종 선발에 탈락한 출연자에 대해서도 전속 매니지먼트를 체결할 수 있는 권한을 추가로 넣었다. "출연자가 최종 선발되지 않은 경우에도 CJ ENM은 출연자의 연예 활동에 대한 전속 매니지먼트 권한을 독점 위탁해 별도 그룹을 결성한 권리를 지닌다." (2조 1항)
◆ "오디션, 산업 생태계 교란"
CJ는 음악 산업 확장을 오디션 명분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독점적 지위를 이용, 불공정한 계약을 유도하고 있다. 이는 산업 구조의 왜곡으로 번질 수 있다. CJ ENM은 채널을 소유한 방송사다. 그들의 역할은 ‘플랫폼’이다. 제작자가 생산한 콘텐츠(아티스트)를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음악산업은 플랫폼과 제작자의 상생을 통해 발전했다. 기획사들은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경쟁했고, 그 결과 K팝이라는 거대한 물결이 완성됐다. 반면, CJ는 수직 계열화를 시도하고 있다. 자신의 플랫폼에서 오디션을 열어 → 중소 기획사의 인재를 확보하고 → 6년 동안 독식하겠다는 심산이다. 이것은 기존 시장 규칙을 뒤흔드는 영역 침범에 해당한다. '보플2' 6년은 CJ에게 이익의 극대화를 안겨주겠지만, 산업 생태계의 불균형은 피할 수 없다. …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608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OUR NEWSLETTER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VISITORS
Today 3,432
Yesterday 4,557
Max 7,789
Total 490,855
알림 0